유니온 타입(Union Types)

많은 언어들 이상한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하다가 문제가 발생하죠.내부에서 제공되는 타입들로 모든 것을 표현해야 하죠. 그 때문에 여러분 스스로 null 이나 논리값, 문자열 등등을 사용하다가 오류가 발생하기가 쉽죠.

Elm의 유니온 타입은 복잡한 자료를 좀 더 자연스럽게 다룰 수 있게 해줘요. 두가지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면서 어떻게 유니온 타입을 사용하는 지 알아볼게요.

더 알아보기: 유니온 타입은 때때로 태그가 지정된 (tagged unions)라고 불려요. 몇몇 커뮤니티에선 ADT라고 부르죠.

투두 리스트 분류하기(Filtering a Todo List)

문제: 작업 관리 할 투두 리스트(todo iist)를 만드는 중이에요. 세개의 뷰를 만들 건데요. 모든 작업들을 보여 주는 뷰, 진행중인 작업 보여주는 뷰, 완료된 작업만을 보여주는 뷰로 구성할 거에요. 어떻게 세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Elm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형태의 데이터를 다룰때는, 유니언 타입을 사용하게 되요. 이 경우엔 세개의 값을 가지는 Visibillity를 만들거에요.

> type Visibility = All | Active | Completed

> All
All : Visibility

> Active
Active : Visibility

> Completed
Completed : Visibility

이제 우리는 세가지 경우를 정의 했고, keep 함수를 만들어 적당하게 작업을 걸러볼 거에요. 다음과 같이 작성하시면 되요.

type alias Task = { task : String, complete : Bool }

buy : Task
buy =
  { task = "Buy milk", complete = True }

drink : Task
drink =
  { task = "Drink milk", complete = False }

tasks : List Task
tasks =
  [ buy, drink ]


-- keep : Visibility -> List Task -> List Task

-- keep All tasks == [buy,drink]
-- keep Active tasks == [drink]
-- keep Complete tasks == [buy]

keep 함수는 첫번째 매개 변수에 따라서 작업을 다양하게 나누어요. if와 비슷한 case 표현식을 사용해서 작성해 볼게요.

keep : Visibility -> List Task -> List Task
keep visibility tasks =
  case visibility of
    All ->
      tasks

    Active ->
      List.filter (\task -> not task.complete) tasks

    Completed ->
      List.filter (\task -> task.complete) tasks

casevisibility의 구조를 보고, All이라면 그냥 모든 작업들을 보여주고, Active라면 진행중인 작업이면서 완료되지 않은 작업들, Completed라면 완료된 작업들만 보여줘요.

case 표현식의 장점은 각 가지들이 컴파일러에 의해 확인된다는 거에요. 이건 다음과 같은 장접을 같죠.

  1. 만약 Compleet 같은 오타가 났을 때, 이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죠.
  2. case 처리를 깜빡했을 때도 컴파일러가 알려줘요.

네번째 Visibility 값으로 Recent를 추가한다면, 컴파일러는 모든 case 표현식에서 Visibility값을 찾아 새로운 것이 추가되었다고 알려주겠죠! 이건 Visibility를 수정하거나 확장할 때, 기존 코드를 수정할 때 생기는 버그의 잠재 위험을 없앨 수 있다는 거에요.

생각해보기: 자바스크립트에선 이런 문제가 어떻게 처리될 지 상상해보세요. 세개의 문자열? null이 될수도 있는 논리값? keep 함수는 어떻게 정의 될까요? 코드를 추가할 때 생길 문제를 대비하여 어떤 종류의 테스트 코드를 짜야할까요?

익명 사용자(Anonymous Users)

문제: 채팅방이 있는데요. 몇몇은 로그인을 하여 사용하고 몇몇은 익명 사용자에요. 어떻게 사용자들을 표현해야 할까요?

자 다시 일반적이지 않은 형태의 자료네요. 유니언 타입을 사용해야겠어요. 이 경우에는 익명 유저와 이름이 있는 유저로 구분할게요.

> type User = Anonymous | Named String

> Anonymous
Anonymous : User

> Named
<function> : String -> User

> Named "AzureDiamond"
Named "AzureDiamond" : User

> Named "abraham-lincoln"
Named "abraham-lincoln" : User

User 타입을 만들고 각각 AnonymousNamed 라고 이름을 붙입니다. 이제 여러분인 User 타입을 사용하려면 이 두개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해야 겠죠. 이제 모든 User의 값들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진다고 보장할 수 있어요.

  Anonymous
  Named "AzureDiamond"
  Named "abraham-lincoln"
  Named "catface420"
  Named "Tom"
  ...

이제 우리는 사용자를 표현할 수 있어요. 자 이젠 사용자들의 포스트 옆에 표시될 사진들을 가져와 볼게요. 다시 한번 User타입을 이용한 case 표현식을 사용해야되요.

userPhoto : User -> String
userPhoto user =
  case user of
    Anonymous ->
      "anon.png"

    Named name ->
      "users/" ++ name ++ ".png"

위와 같이 Anonymous 일 때 보여줄 임시 사진과 Named 일때 가져올 사진 두가지 가능성이 있게 되요. 위 case 는 이전보다 간단하죠. 두번째 분기엔 name 이라는 소문자 변수가 있어요. 이 의미는 Named "AzureDiamond"와 같은 값이 있을 때 name 변수는 "AzureDiamond"가 되는 것이에요. 이런 걸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이라고 불러요.

자 이제 어느정도 유저가 있고 그들의 사진이 있는 채팅방을 상상해보세요.

activeUsers : List User
activeUsers =
  [ Anonymous, Named "catface420", Named "AzureDiamond", Anonymous ]

photos : List String
photos =
  List.map userPhoto activeUsers

-- [ "anon.png", "users/catface420.png", "users/AzureDiamond.png", "anon.png" ]

User 와 같은 타입을 만들면 좋은 점은, 코드 베이스에서 익명인 유저가 있을 있다는 경우를 "잊어버릴 수" 없다는 거에요. 유저를 사용하는 누구나 case 에서 이 정보를 알아낼 수 있어요. 또한 모든 case 에서 모든 가능성에 대해서 보장해 주죠!

더 생각해보기: 다른 언어에서는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세요. 문자열이 이면 빈 문자열이면 익명을 의미할까요? 문자열이 null이면 어떻게 할까요? 이런 모든 케이스에 대해서 테스팅하는 게 과연 가능할까요?

위젯 대시보드(Widget Dashboard)

문제: 여러분은 서로 다른 위젯 세개를 갖는 대시보드를 만드는 중이에요. 하나는 최근 로그를 보여주고, 하나는 타임 플롯을 보여주고, 하나는 스캐터 플롯을 보여줄때, 이 위젯들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좋아요, 이제 좀 더 깊게 들어가 볼게요. Elm에선 각각의 상황의 문제를 개별적으로 생각하고 문제 해결을 시작해요.(이상해 보이겠지만 여러분이 좀 더 경험이 많아지다면, 점점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재사용 가능한 Elm 프로그램을 만들어 나가게 될거에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세 시나리오를 각각 만들거에요. view 함수 또한 각각 HTML이나 SVG와 같은 것으로 변환되겠죠.

type alias LogsInfo =
  { logs : List String
  }

type alias TimeInfo =
  { events : List (Time, Float)
  , yAxis : String
  }

type alias ScatterInfo =
  { points : List (Float, Float)
  , xAxis : String
  , yAxis : String
  }

-- viewLogs : LogsInfo -> Html msg
-- viewTime : TimeInfo -> Html msg
-- viewScatter : ScatterInfo -> Html msg

여기서 요점은 세가지 경우에 대해 모든 helper 함수가 각각 완벽하게 독립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거에요. 누군가 나중에 "스캐터 플롯을 보여줄 멋진 방법이 필요해"라고 말했을 때 그냥 코드 일부를 사용하면 되죠.

하지만 진짜 문제는 "특정 경우에 이 각각의 것을 함께 쓸 수 있을까요?"에요.

다시 한번 말씀하지만 다른 타을 유니언 타입으로 집어 넣을 수 있어요!

> type Widget = Logs LogsInfo | TimePlot TimeInfo | ScatterPlot ScatterInfo

> Logs
<function> : LogsInfo -> Widget

> TimePlot
<function> : TimeInfo -> Widget

> ScatterPlot
<function> : ScatterInfo -> Widget

Widget 타입은 해당 생성자 함수를 이용한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요. 생성자가 태깅(tagging)되었다고 생각하시고, 런타임과는 분리되었다고 말할 수 있죠. 이제 다음과 같이 작성해서 위젯을 렌더 할 수 있어요.

view : Widget -> Html msg
view widget =
  case widget of
    Logs info ->
      viewLogs info

    TimePlot info ->
      viewTime info

    ScatterPlot info ->
      viewScatter info

이 방식의 좋은 점중 하나는 어떤 종류의 위젯을 지원하는 지에 대한 의문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거에요. 정확히 세개 뿐이죠. 만약 다른 누군가가 네번째를 추가한다면, Widget 타입을 수정하면 되요. 이 의미는 다른 팀의 누군가가 여러분의 코드를 망치는 것에 대해 놀랄 일이 사라진 다는 거에요.

알고 넘어가기:

  • 각각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세요.
  • 유니언 타입을 이용해서 해결책을 모으세요.
  • 유니언 타입을 만들면 생성자가 많이 생겨요. Creating a union type generates a bunch of constructors.
  • 이 생성자들은 런타임에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태깅해요.
  • case 표현식을 이용하면 태그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구분할수 있어요.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게임을 만든다면, 서로 다른 특성만 가진 사람들로만 이루어 져도 괜찮아요. Goombas가 한쪽 작업을 하고 있을 때 Koopa Troopas는 완전 다른 일을 해요. 하지만 각각 서로의 문제들이 해결되면, 유니언 타입을 이용해서 이들을 묶을 수 있어요.

연결 리스트(Linked Lists)

문제: 여러분은 속도가 느려지면 터지는 버스에 같혀 있어요. 버스에 타고 있는 사람들을 구할 유일한 방법은 Elm에서 연결 리스트를 구현하는 것 뿐이에요. 어서 서두르세요. 연료가 떨어지고 있어요!

네네, 이번엔 문제가 좀 이상해 보이긴 하지만 그게 중요한 게 아니에요. 유니온 타입을 좀 더 급진적으로 사용해볼 거라는 게 중요해요!

연결 리스트는 값들이 연속적으로 있는 형태에요. 연결 리스트는 비어있거나, 값과 리스트가 더 있을 수도 있어요. 때문에 이번에 만드는 리스트도 비어있거나 값들이 있거나 할 거에요. 자 정수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봅시다.

> type IntList = Empty | Node Int IntList

> Empty
Empty : IntList

> Node
<function> : Int -> IntList -> IntList

> Node 42 Empty
Node 42 Empty : IntList

> Node 64 (Node 128 Empty)
Node 64 (Node 128 Empty) : IntList

이번엔 두가지 새로운 것이데요. 보이는

  1. Node 생성자는 한개가 아닌 두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하지만 괜찮아요. 사실 매개변수는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어요.
  2. 유니언 타입은 재귀적이에요. 유니언 타입을 사용한다면 IntList 안에 또다른 IntList를 넣어도 괜찮아요.

만들어진 IntList 장점 중 하나는 검증된 연결 리스트만 빌드된다는 거에요. 모든 연결 리스트는 Empty로 시작하고, 새로운 값을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은 Node를 사용하는 것 뿐이에요.

이건 리스트를 사용할 때도 좋아요. 리스트의 숫자 합계를 계산해 볼게요. 다른 유니언 타입과 마찬가지로, case 를 통해서 가능한 시나리오를 다룰 수 있어요.

sum : IntList -> Int
sum numbers =
  case numbers of
    Empty ->
      0

    Node n remainingNumbers ->
      n + sum remainingNumbers

만약 Empty값을 받았을 때 합계는 0이겠죠. 만약 Node라면 남아있는 값들의 합에 첫번째 요소를 더해줘요. 즉 (sum (Node 1 (Node 2 (Node 3 Empty))))와 같은 표현식으로 동작하는 거에요. 다음과 같이 계산되는 거죠.

  sum (Node 1 (Node 2 (Node 3 Empty)))
  1 + sum (Node 2 (Node 3 Empty))
  1 + (2 + sum (Node 3 Empty))
  1 + (2 + (3 + sum Empty))
  1 + (2 + (3 + 0))
  1 + (2 + 3)
  1 + 5
  6

각각의 라인들을 보시면, 한단계씩 계산되어지는 걸 알 수 있죠. sum을 호출하게 되면 값이 Node 인지 Empty 인지에 따로 변환되는 거에요.

더 알아보기: 방금 처음으로 재귀함수를 작성해 보았어요! sum은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죠. 재귀 함수와 같은 사고방식을 갖는 것은 어렵지만 여러분들과 이 이상한 방법을 공유해보고 싶었어요. 그냥 이미 다 아는 척을 하세요.

전 항상 case를 작성할 때 모든 경우들을 한번에 채우지 않고, 각각의 경우를 하나씩 처리해요. sum을 보면 Emtpy -> 를 먼저 0이겠구나 생각한 뒤 Node n remainingNumbers -> 의 경우를 살펴보고 생각해봐요. 숫자와 리스트 sum 함수가 완벽하게 동작한다는 걸 알게 되면, 이제 그냥 숫자를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죠.

제네릭 데이터 구조(Generic Data Structures)

문제: 방금은 정수에 대해서만 동작하는 연결 리스트를 봤었는데요. 사실 반쪽짜리 리스트라고 할 수 있죠. 모드 종류의 값에 대응하는 연결 리스트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자 정의 할 때 타입 변수(type variable)이 들어간다는 것 빼곤 모든게 비슷해요.

> type List a = Empty | Node a (List a)

> Empty
Empty : List a

> Node
<function> : a -> List a -> List a

> Node "hi" Empty
Node "hi" Empty : List String

> Node 1.618 (Node 6.283 Empty)
Node 1.618 (Node 6.283 Empty) : List Float

Node 생정자의 재밌는 부분중 하나는 데이터 타입을 IntIntList 등으로 고정하는 대신 aList a를 사용했나든 거에요. 이로써 여러분은 같은 타입을 갖는 값들 어떤 것이든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게 되는거죠.

나머지도 비슷해요. case를 이용해서 패턴 매치를 하고, 재귀함 수를 작성하겠죠. 유일한 다른 점은 방금 만든 리스트는 어떤 타입이든 사용할 수 있다는 거죠.

Everything else is the same. You pattern match on lists with case and you write recursive functions. The only difference is that our lists can hold anything now!

연습문제: 이건 Elm의 List와 동일하게 동작하요. 그럼 한번 List 라이브러리를 살펴보고 여러분도 직접 함수를 구현할 수 있을 지 확인해 보세요.

추가 예제

지금까지 몇가지 예제를 살펴보았는데요. 유니온 타입에 익숙해질 수 있는 방법은 역시 직접 사용해보는 거에요! 자 여기 몇가지 예제를 더 준비해 보았어요.

이진 트리(Binary Trees)

이진 트리는 연결 리스트와 거의 비슷해요.:

> type Tree a = Empty | Node a (Tree a) (Tree a)

> Node
<function> : a -> Tree a -> Tree a -> Tree a

> Node "hi" Empty Empty
Node "hi" Empty Empty : Tree String

트리는 는 비어있거나 두개의 자식 값을 가질 수 있죠.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이 예제를 확인하세요. 여러분이 이 예제 끝의 문제들을 전부 해결할 수 있다면, 여러분은 충분히 유니언 타입을 잘 사용하는 거라 볼 수 있어요!

언어(Languages)

만약 좀 더 미친듯이 사용해보고 싶다면 프로그래밍 언어를 데이터로 모델링 해볼 수 도 있어요. 아래는 불린 대수 (Boolean algebra)를 이용한 예제에요.

type Boolean
    = T
    | F
    | Not Boolean
    | And Boolean Boolean
    | Or Boolean Boolean

true = Or T F
false = And T (Not T)

값을 모델링 하면 eval같은 함수를 정의하고, TrueFalseBoolean 으로 받는 것도 가능해져요. 자세한 것은 이 예제를 참고를 참고하세요.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